#들어가며: OTA가 그렇게 대단해?
사실, V2L과 마찬가지로, 별다를 것이 없는 기술이라 생각할 수 있다. 아이폰 유저라면 아이폰 무선 업데이트를 수도 없이, 일상적으로 해왔다. 그런데 이게 차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은 굉장히 큰 의미이다. 전기차라 혁명이라고 하는 이유는 연료없이 전기로만 이동해서가 아니다. 이제 차가 단순히 이동수단을 넘어 하나의 IT기기가 될 수 있기 떄문이다. 마치 아이폰이 통신수단이 아니라 스마트폰 그 자체로 등장했던 것 처럼. 전기차에서 그 변화의 시작은 OTA일 수 있다.
#OTA란
1. 쉐보레 놈들아 OTA내놔
최근 쉐보레로 부터 한 통의 우편을 받았다. 소프트웨어 상 결함이 있으니, 정비소로 오라는 것이다. 말리부 차주인 나는 이렇게 시간을 쪼개어 정비소로 가서 검사를 받아야한다. 하지만 테슬라였다면 어떨까. Over The Air, 말 그대로 무선으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면 끝날 일이다.

비단 쉐보레만의 문제는 아니다. 현재 테슬라를 제외하고는 OTA가 제대로 구현되는 차가 없다. 아직 OTA를 받아줄만한 하드웨어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테슬라는 자율주행(FSD)기능을 900만원을 받고 파는데, 이 옵션을 선택을 안하더라도, 테슬라 차량은 이를 받아들일만한 컴퓨터를 심어놓는다. 그 컴퓨터 가격만 250만원 정도로 알려졌다. 그리고 만약 FSD를 구매한다면 업데이트를 통해서 그 기능을 봉인해제하는 것이다. 물론 FSD기능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아이폰이 그런 것 처럼.
2. 다른 회사들은 왜 안해?
딱 들으면 느껴지지 않는가? 이건 무지막지하게 확실히 자동차의 미래다. 아마 이런 것도 가능할지 모르겠다. 내연차의 감성을 느끼고 싶다면 앱스토어 같은 곳에서 내연차 주행질감 상품을 10만원에 구매하는 것이다. 그러면 전기차인데, 사운드나 주행느낌이 페라리나, BMW같은 것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미 테슬라는 OTA를 통해 브레이크 성능, 열관리 시스템 심지어는 주행거리까지 향상시키고 있다.

현대자동차를 예로 들어보자, 코나EV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조치는 베터리 교체였다. 물론 손실은 조단위였다. OTA로 관리했다면, 금액은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작았을 것이다. 기존 내연차들은 이미 수 많은 협력업체들과 연결되어있다. OTA를 하려면 통합OS를 구축해야하고 그러려면 자동차 부품의 규격 및 기준을 하나로 통일시켜야한다. 애초에 처음부터 시작하면 모를까 이걸 하나로 통합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든다. 테슬라는 처음부터 전기차만 양산했기 때문에 이런 문제점이 없다.
물론 어렵다고 시작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이쪽에서도 주가가 뛰고 있는 것은 엔비디아인데, 벤츠와 현대 등 많은 회사들이 엔비디아와 협업하여 통합OS구축을 하고있다.
#그래서 뭐가 더 대단한걸까
글이 산으로 간 것 같은데, 이전글과 이글은 아이오닉5의 V2L과 테슬라의 OTA를 비교해보기 위함이었다. 물론 V2L을 양산차에 적용하여 불량률 제로를 확신한 것은 대단하지만 실현가능성 측면에서 테슬라의 OTA가 우위라 생각한다. 당장 내일이라도 테슬라는 V2L을 모델3에 적용할 수 있다. 기술력은 있지만 보증의 문제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는 OTA를 할 수 없다. 적어도 2,3년을 걸릴 것이다.(이미 제네시스 등에 적용은 했지만, 성과가 미미하다) E-GMP가 이미 있긴 하지만, 거의 처음부터 새로시작하는 느낌으로 접근해야한다. 테슬라는 이미 전세계 도로에 OTA가 적용된 차들이 돌아다니고 있고, 그로부터 자율주행등 각종 데이터를 빨아들이고 이를 다시 차에 적용시키는 것까지 가능하다.

하드웨어를 뿌리고 소프트웨어로 돈벌어 먹는 것은 불패다. 많은 사람들이 테슬라를 소프트웨어 회사라고 하는 것도 테슬라의 전략 때문이기도 하다. 지금 전세계를 돌아다니고 있는 수십만대의 테슬라. 아직 수 자체는 부족하지만 점차 쌓일테고, 구독서비라든지, 유료 소프트웨어를 풀어버리면 사실상 아이폰과 다를게 없다. 애플 단말기랑은 숫자 차이가 워낙 크긴 하지만..
그런 점에서 보면 현대나 다른 기업들은 갈 길이 멀다. 당장 벤츠도 IT전문가만 1000명을 뽑아들이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실상 전기차 시대에서 하드웨어는 쉽게 외주로 생산할 수도 있는 일이다. 당장 대만의 홍하이 그룹이 통합OS 소프트웨어를 장착할 수 있는 전기자 하드웨어를 공급하겠다고 하니 말이다.
아이오닉5를 타봤을 때는 역시나 소프트웨어 부분에서 많이 모자람을 느꼈다. 내연차와 전혀 다를 것이 없었다. 새로운 모빌리티의 경험, 진정한 전기차 시대의 전환은 OTA부터 시작이다.
'리뷰 >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승기]아이오닉5: 테없아왕!(테슬라가 없다면 아이오닉이 왕이다..?)_2편 / 실내외 디자인, 주행, 가격 및 보조금, 논란&이슈 정리 (0) | 2021.07.27 |
---|---|
[시승기]아이오닉5: 테없아왕!(테슬라가 없다면 아이오닉이 왕이다..?)_1편 / 실내외 디자인, 주행, 가격 및 보조금, 논란&이슈 정리 (0) | 2021.07.26 |
V2L vs OTA: 현대의 V2L과 테슬라의 OTA_1편 / V2L로 현대차 쉴드치기 (0) | 2021.07.23 |
LFP와 NCM: 중국산 배터리가 한국을 이긴다? / 인산철 배터리 비중 확대 (0) | 2021.07.22 |
벤츠 EQA VS 우링홍광미니ev: 가오충 vs 가성비충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