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는 트위터를 통해서 비트코인과 도지코인의 가격을 요동치게 만들었다. 그의 트윗은 진심이었을까? 테슬라의 회계장부를 보면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1. 투자자산 VS 무형자산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19년에 비트코인은 화폐나 금융상품이 아니라고 입장을 밝혔다. 거래소에서 가지고 있는, 즉 판매를 위한 목적이 아니라면 모두 무형자산으로 처리하라는 것이다.(출처: https://www.hani.co.kr/arti/economy/finance/993008.html) 테슬라는 비트코인을 Distal asset(즉, 무형자산)에 계상했다. 테슬라는 상장사고 회계사의 감사를 받기 때문에, 독자적인 판단은 (당연히)아니다. 미국은 독자적인 회계기준을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처럼 국제회계기준..
일본은 전고체 배터리에 진심을 다하는 중이다. 도요타가 올해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차를 내놓겠다 했고, 닛산도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일본은 관련 특허만 100개 넘게 보유 중이다. 한국에서는 삼성SDI가 연구 중이지만,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세계적으로 배터리 점유율이 높은 회사들은 리튬이온배터리에 집중하고 있다. 배터리는 양극재에 있는 리튬이온이 분리막을 거쳐 음극재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류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이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전해질이 액체로 이뤄져있는 것이고, 전고체배터리는 고체로 이뤄진 것이다. 일본은 전고체에 매달릴 수 밖에 없다.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그다지 많지는 않았는데, 그러다보니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점유율을 모두 한국과 중국(CATL)에 빼앗겼다. 본래 2차전지인 리튬..
한국에는 시판되고 있지 않지만, 준중형급(또는 그아래)에서 일본은 물론 전세계를 씹어먹는 차가 야리스다. 이름이 어감이 상당히 좋지 않다. 일본에서는 원래 비츠(Vitz)라고 했었는데, 현재는 수출용과 같이 야리스로 통일했다. 제원은 길이 3940mm 너비 1695mm, 높이 1500mm으로 아반떼보다 작고, 소형이라 볼 수도 있겠다. 미친 연비에 주행성능까지 보강했기 때문에 불티나게 팔리고 있으며, 수요 폭증(월에 가솔린 모델1만대, 하이브리드모델 1만대씩 팔림)으로 반도체 재고 대응이 안되서 토요타에서는 감산까지 감행할 정도다. 21년 유럽 올해의차로 선정됐다. 해치백, 세단, 크로스 등 다양한 버전이 있고, 야리스 GR은 차쟁이들이 좋아 죽는 드라이빙 경험을 준다고 한다. 어느나라를 여행해도 렌트카..
*[스터디]란 시승해보지도 않고 본적도 없지만, 방구석에서 서치와 유튜브로 뜯어본 자동차에 대해서 주절대는 글이다. 첫글로 전세계 베스트 셀링카 토요타 코롤라를 공부해본다. 도요타는 얼마전까지 무려 전세계 자동차 회사 시가총액 1위의 기업이었지만(지금은 2위, 1위는 테슬라), 국내에서는 평소에 인식하기 힘든 브랜드 중 하나다. 그도 그럴 것이 1년 판매량이 100만대가 넘는(아반떼 즉, 엘란트라가 30만대 수준)베스트 셀링카인 도요타 코롤라도 한국에서는 무참히 짓밟혔기 때문이다. 원인이야 다양하겠지만, 한국에서는 현대 아반떼가 준중형 시장을 먹고 있고, 가격도 2000만원 내외로 저렴하기 때문이다. 해외에서야 코롤라도 가격으로 아반떼랑 붙어볼만하지만, 2010년대 초반에 수입하는 과정에서 여러비용이 덕..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